1. 두경부의 위치와 구조

두경부는 머리, 입, 코, 목 부위를 명칭 하는 단어입니다.
두경부암이란 뇌와 안구, 치아를 제외한 쇄골 상부의 여러 가지 구조물의 암을 의미합니다.
발생한 위치에 따라서 구강암, 인두암, 침샘암, 비부비동암, 후두암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강'은 앞쪽 입술부터 위쪽 인두와 연결되는 입 안의 전체 공간을 말합니다.
'부비강'은 비강에서 이어져 있으며 골 속에서 볼 수 있는 공기가 들어있는 비어있는 공간입니다.
'후두'는 박성기관이며 음식을 먹을 때 음식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도 합니다.
'인두'는 입과 식도 사이에 있는 짧은 소화기관입니다.
'침샘'은 입안으로 소화액을 분비하는 샘이며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 작은 침샘으로 구분됩니다.
'편도'는 인두의 입구를 둘러싸듯이 있는 림프장치입니다.
2. 두경부암에 대한 기본 지식
[발생 원인]
두경부암은 흡연자인 경우 발병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비흡연자와 비교 시 발병하게 될 확률이 15배나 차이가 납니다.
음주와 흡연을 동반할 경우에는 그보다 4배 더 발병률이 올라갑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HPV virus)는 많은 두경부암이랑 연관이 있습니다. 구인두암이라고 알려져 있는 인후암, 서람, 편도암 등을 유발하기도 하는 바이러스입니다.
[발생 부위에 따른 증상 분류]
조직학적으로는 90% 편평 상피세포에서 기인되는 편평 세포암입니다.
해부학적 위치에 의해서 암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a. 구강암
구강암은 구내염이랑은 다르게 궤양이 생기고 호전되지 않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통증과 단단한 종괴가 구강 내에 존재하게 됩니다. 귀 밑이나 목 윗부분에서 혹이 만져지기도 합니다.
b. 비부비동암
비부비동암은 코가 막히며 코피가 주기적으로 발생합니다. 코 주위로 통증이 생기고 귀가 먹먹하거나 귀 밑이나 목 부분에 혹이 촉진되는 증상이 있습니다.
c. 후두암
후두암은 목 주위로 구슬 같은 혹이 촉진되며 목소리가 쉬거나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며 진행성암인 경우에는 호흡곤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d. 인두암
음식물을 삼키는 과정에서 통증이 생기고 목에 이물감이 있으며 목의 주변으로 혹이 만져지게 됩니다.
e. 침샘암
침샘이 있는 턱 부위가 붓게 되며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합니다. 진행된 경우에는 신경이 눌려서 얼굴신경 마비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하는 방법]
우선 내시경 검사를 통해서 후두, 인두, 비부비동 등의 깊숙한 부위에 모양과 범위 등을 확인하고 필요시 조직검사를 해야 합니다.
CT
MRI
PET CT
검사를 시행합니다.
3. 두경부암 치료법 분류 (방사선 치료 및 항암화학 요법 치료)
원발부위와 조직병리 결과, 전이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두경부암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총 30회 정도 진행을 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침샘 일부가 영향을 받아서 입맛이 변하며 구강 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내염으로 인해서 입안이 헐고 통증이 생기며 출혈이 생겨서 음식물을 먹기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 시에 치아와 잇몸에 방사선이 조사되고 침샘의 영향으로 치아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고선량의 방사선이 조사된 경우에는 발치하거나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에 잘 아물지 않아서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량을 확인하고 협진으로 치과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두경부암의 경과 및 주의사항
전체적인 두경부암의 생존율은 50% 정도이지만, 조기에 발견된 경우에는 80~90 % 까지 생존율이 올라갑니다.
따라서 조기진단이 가장 중요하며 뒤늦게 발견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렵고 치료 이후에도 두경부 치료이기 때문에 기능적, 미용적인 장애를 남기게 될 수 있습니다.
후두암과 하인두암인 경우에는 기관절개공으로 평생 호흡해야 합니다.
후두암 치료 후에는 발성과 연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후두를 부분절제한 경우에는 성대의 구조가 남아서 발성이 가능하지만, 후두를 전체 절제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발성이 불가능하기에 성대를 대신해 진동이 발생할 부위가 필요합니다. 식도괄약근 부위를 진동시키거나, 전기후두라는 기계를 이용하여 진동을 만들 수 있으며 소리를 내는 기관식도 발성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