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암의 치료 방법과 수술 후 관리 방법

by 킴미츄 2025. 4. 3.

1. 위의 위치와 구조 (stomach)

위는 식도에서 바로 이어지는 소화기관이며 , 소화기관 중에 가장 넓은 부분입니다.

위쪽으로는 식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 아래쪽으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위의 기능으로는 구강으로 섭취된 음식물을 일시 저장하고 , 음식물을 잘게 만들고 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2. 위암에 대한 기본 지식

[증상] 
a. 초기 : 무증상 
b. 진행 중 :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검은 대변, 체중감소, 오심, 무력감, 피로, 팽만감 등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검사 소견] 
빈혈, 복수, 장폐색, 저단백증 등이 있습니다. 

[관련 생활습관] 
염분이 많은 자극적인 식사, 채소 섭취 부족, 흡연 등이 있습니다. 

[확인 가능한 검사] 
tumor maker (CEA, CA19-9) 
UGI series (상부위장관 조영검사) 
EGD (위장관 내시경 검사) 
복부 CT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이 있습니다. 

[분류] 
위선암 : 위 악성암의 95% 차지하며 위벽의 점막층에서 발생합니다. 
1) 조기위암 (EGC) : 암 점막층, 점막하층까지 국한된 경우 
2) 진행위암 (AGC) : 조기위암 이상으로 깊이 침윤된 경우 

[전이] 
a. 위에서 나온 관을 따라 퍼지는 경우 
1) 혈행성 전이 : 정맥에서 문맥을 지나기 때문에 간으로 많이 전이됩니다. 그리고 폐, 뇌로 전이됩니다. 
2) 림프성 전이 : 림프절 전이 
b. 위 장막을 뚫고 주위로 퍼지는 경우 
췌장, 횡행결장으로 전이될 수 있습니다.

3. 위암 치료법 분류 (수술 및 시술적 치료)

a.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ESD)

조기 위암인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암의 크기 2cm 이하, 궤양 없을 때, 점막층 내인 경우, 분화형인 암의 경우, 함몰형일 경우 가능합니다.)

 

b. 위아전절제술 (STG , Subtotal gastrectomy)

소화기능 보존 가능합니다. 

billroth I (위장십이지장 문합술), Billroth II (위장공장 문합술)으로 분류되어집니다.

 

c. 위전절제술 (total gastrecrtomy)

위 전체를 절제하여 식도와 공장을 연결하는 수술입니다.

 

d. 로봇 수술, 복강경 수술 

조기 위암인 경우 시행 가능합니다.

 

4. 수술 후 간호

a. 수술 직후 가스 나오면 음식 섭취가 가능합니다. (소량의 물 섭취로 시작하여 점차 섭취량을 올립니다.) 
1) 식이 교육이 필요합니다.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조금씩 자주 씹어 삼키기 
·소량의 식사를 자주 6끼 이상 나눠서 먹기 
·국물이나 물을 식사 시에 같이 먹지 않기 (식 후 30분 이후부터 섭취) 
·식사 후 바로 움직이지 않고 15~30분 쉬기 
·너무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기 

b. 영양 상태 불균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철분결핍성 빈혈, 비타민B 12 부족, 저 알부민 혈증 등) 

c. 덤핑증후군 증상 확인 
1) 초기덤핑 증후군 (식후 20~30분 후에 발생합니다.) 
삼투압 차이로 인해 주위혈관에서 물을 흡수하여 전신을 순환하는 수분량이 감소하고 , 그에 따른 순환 혈액량의 부족으로 구토, 복통, 빈맥, 발한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2) 후기덤핑 증후군 (식후 2~3시간 후에 발생합니다.) 
식후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면 인슐린이 대량으로 분비되고 인슐린에 의하여 저혈당에 빠지게 됩니다.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어지러움, 심계항진, 실신, 빅맨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d. 위절제술과 빈혈의 상관관계 확인 
1) 철 결핍성 빈혈 
철은 위산으로 인해 몸에 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위를 절제하게 되면 위산의 분비가 감소하여 철분 흡수가 적어지게 되어 '철 결핍성 빈혈'이 생기게 됩니다. 
2) 거대적 모구성 빈혈 
비타민B12는 항악성빈혈인자와 결합하여 회장에서 흡수됩니다. 
항악성빈혈인자는 위벽세포에서만 분비하기 때문에 위절제를 하게 되면 비타민B12가 체내에서 결핍이 되어 그로 인해 거대적 모구성 빈혈이 발생합니다. 위절제 후 수년이 지난 후에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5. 위암 치료법 분류 (항암 화학 요법 치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암제 
5-FU, Adriamycin, Epirubicin, Paclitaxel, Cisplatin 등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Cisplatin + 5-FU의 병용화학 요법이 표준적인 치료법입니다. 
표적치료제로는 trastuzumab (Herceptin), ramucirumab (cyramza)로 투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