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방의 위치와 구조
유방은 남성, 여성 모두에게 있으나 여성은 사춘기부터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서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서 유선이 발달하면서 가슴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반구형의 유방 모습을 갖추게 됩니다.
유방 위로 유륜과 유두가 볼록하게 상승하며 유두는 색이 짙어지며 유륜 주위로 유륜샘이 나타납니다.
유방의 모양 및 크기는 월경 주기, 임신 기간, 피임약의 복용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합니다. 여성 호르몬이 유방 내의 선 조직의 부피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유선에서 분비되는 모유는 소엽에 있다가 아기가 젖을 빨면 자극에 의해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가 되고 모유가 분비됩니다. 유방은 지방조직이 유방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감싸고 있으며 유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방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유관 상피 증식증, 관내 유두종, 선염, 유방염, 유방농양, 유방 석회화, 경화성 선증, 섬유선종, 유두선종, 유방암 등이 있습니다.
2. 유방암에 대한 기본 지식
[증상]
증상 없이 자가검진으로 발견되거나 마사지받다가 또는 세신 받다가 발견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유두 함몰되며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원래 유방은 반구형 모양인데 모양이 변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방 주변의 피부가 오렌지껍질처럼 변하거나 움푹 패이기도 합니다.
피부에 염증이 생기고 가슴이나 림프절 쪽에 멍울이 만져지거나 느껴집니다.
[확인 가능한 검사]
유방촬영술 (Mammography)는 유방전용 X 선 촬영입니다.
유방 초음파는 낭종인지 고형물인지 판별이 가능합니다.
유방 MRI 검사는 다른 검사들에 비해서 유방암 검사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높습니다.
정확한 수술 계획에 도움이 되며 실리콘 및 파라핀을 유방에 주입해서 성형술을 한 여성의 경우에도 비교적 정확하게 유방암 진단이 가능한 검사입니다.
[분류]
유방암은 조직의 침습 정도에 따라 분류하게 됩니다.
a. '유관 상피 내암'은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생긴 암으로 추후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 '소엽상피내암'은 유선 소엽을 이루는 세포에서 생긴 암이며 젊은 연령층에 흔하게 발생합니다. 다발성이고 양측성인 빈도가 매우 많으며 추후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c. '침윤성 유관암'은 전체 유방암의 80% 를 차지합니다. 기저막을 침범한 경우입니다.
d. '침윤성 소엽암'의 예후는 침윤성 유관암과 비슷 ㅎㅂ니다. 침윤성 유관암에 비해서 다발성 및 양측성의 빈도가 높습니다.
e. '파제트병'은 유두 및 유륜의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의 암입니다.
원인에 따른 분류로 치료 방향을 결정하게 됩니다.
a. 호르몬 양성 (E/P/H +/+/-) 은 Luminal A 타입입니다.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은 양성, 허투인자는 음성으로 나온 경우입니다.
b. 삼중양성은 Luminal B 타입입니다.
c. 허투양성 (E/P/H -/-/+) 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은 음성, 허투인가는 양성으로 나온 경우입니다.
d. 삼중음성 (E/P/H -/-/-)은 전체 유방암의 20% 정도를 차지하며 원인 불명 유방암이며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허투 인자 모두 음성이 나온 경우이며 Ki-67 지수 확인이 필요합니다.
[전이]
림프 전이가 가장 흔하며 림프관을 타고 폐나 뼈의 전이가 제일 많습니다.
3. 유방암 치료법 분류 (수술 및 시술적 치료)
a. 절제술
1)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modified radical mastectomy) 는 액와 림프절 절제를 포함하는 유방 전 절제술입니다.
2) 유방 전 절제술 또는 단순 유방 절제술 (Total mastectomy or simple mastectomy)는 애흉근과 유두와 유륜을 포함한 모든 유방조직을 제거하며 액와의 림프절은 제거하지 않는 수술입니다.
3) 국소절제술, 절개종괴절제술은 종괴만 절제하고 유방의 중요한 부분들은 모양 유지하면서 남겨두는 형태의 수술입니다.
b. 재건술
1) 조직확장기 및 보형물 재건은 즉시 보형물을 넣기 어려운 경우에 1차로 조직확장기를 넣어 확장 부위를 유지한 후 2차 수술로 보형물 삽입하는 수술입니다. 피부 조직 절제량이 많이 않은 경우에는 즉시 보형물을 넣어 재건합니다.
2) 자가 조직 재건술은 몸의 다른 부위에 있는 조직을 이용하여 재건하는 방법입니다.
수술 후 주의사항으로는 림프절 절제되는 경우 림프액의 흐름이 절체 되어 림프부종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Arm save 해주어 수술한 부위의 팔에는 혈압측정 및 혈관 주사를 금지해야 합니다.
4. 유방암 치료법 분류 (항암 화학 요법 치료)
a. 호르몬 양성 Luminal A 타입인 경우에는
AC (Adriamycin + Cyclophosphamide)를 총 4회 투약 후 TC (Taxol + Cyclophosphamide)를 총 4회로 8차까지 항암을 시행합니다.
모두 3주에 한 번씩 투약하는 약제입니다.
AC의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구역감, 탈모 증상이 있으며 항암 후 10일 이후부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TC의 부작용으로는 손발 저림, 구역감, 구토가 있으며 손발 저림은 즉시 생길 수 있고 제일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입니다. 또한 손발톱이 검게 변하며 빠질 수 있습니다.
b. 삼중양성, 허투양성인 경우에는 TCHP (Taxol + Carboplatin + Herceptin + Perjeta)를 총 8회 시행합니다. TCHP 투약의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구역감, 설사,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c. 삼중음성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호르몬 양성 치료 regimen과 동일하게 진행합니다.
5. 유방암 치료법 분류 (항호르몬 치료)
호르몬 수용체가 양성인 경우에는 에스트로겐에 의해서 암세포의 성장이 촉진된 경우이기 때문에 이를 차단하기 위해서 타목시펜을 복용하게 됩니다. 5년 동안 매일 복용합니다.
타목시펜의 부작용은 월경 불순, 빠른 폐경, 성기능 손상, 질건조증, 골다공증이 있으며 유선에 대해서는 항에스트로겐 작용을 하지만 자궁에 대해서는 에스트로겐 작용을 일으키기에 자궁내막암의 위험도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폐경 여성의 경우에는 방향화효소 억제제인 Letrozole, Anatrozole을 투약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