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척추의 위치와 구조
척수는 뇌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연수의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뻗어 있습니다.
척수는 흰색이며 위쪽은 굵고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얇아집니다.
단면을 보면 중심은 회백질, 겉면은 백질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척수에서는 신경다발이 뻗어 나와서 온몸으로 퍼지게 됩니다.
이 신경다발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서 척수를 크게 다섯 부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목 - 경수 8쌍
가슴 - 흉수 12쌍
허리 - 요수 5쌍
그 아래를 천수 5쌍
가장 끝부분은 미수 1쌍이라고 하며 총 31쌍의 신경이 척수에서 나옵니다.
척수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42~45cm입니다.
척수는 뇌와 온몸의 신경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말초신경계에서 받아들여지는 자극은 척수를 통해서 뇌로 올라가게 되고 , 뇌에서 보내는 운동 신호는 척수로 내려와서 말초신경계로 전달이 됩니다.
척수는 자율 신경계의 반사작용에도 관여하고 있습니다.
교감신경 및 부교감 신경계에 모두 작용해서 내장 기능의 등을 조절하게 됩니다.
2. 척수종양에 대한 기본 지식
[분류 및 증상]
종양의 위치에 따라서
척수 외 종양
경막 외 종양
경막 내 종양
척수 내 종양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통증 조절이 첫 번째 목표입니다.
90% 이상이 통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일부 전이성 종양은 방사선 치료가 유효하므로 수술까지 진행하지는 않습니다.
종양이 척수를 압박하게 되면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깁니다. 근력 약화의 증상이 뚜렷해지며 부위에 따라서는 강직성 마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종양의 부위에 따라서 임상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경막 외 종양인 경우 전이성 종양이 가장 ㅁㄶ으며 종양이 점점 커져서 척수를 압박하거나 척추를 파괴하게 됩니다.
갑작스러운 허탈과 척수의 압박이 생기며 하지마비나 상지마비가 발생하게 됩닏.ㅏ
경막 내 척수 외 종양인 경우 브라운 시쿼드 증후군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라운 시쿼드 증후군은 척수의 오른쪽이나 왼쪽의 반이 침범되는 경우 침범된 쪽의 위치감각과 진돈감각이 저하되며 반대쪽에 통증 및 온도감각이 소실하게 되는 증상입니다.
신경초종양은 대부분 후 신경근에서 발생하며 전신경근에는 신경섬유종이 더 많이 생깁니다.
가장 흔한 초기 증상으로는 좌우 비대칭으로 나타나는 신경근성 통증입니다.
숨가종의 경우 가슴부위인 흉수에서 흔히 발생하며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척수 내 종양의 경우 중추신경계 2~4%를 차지합니다. 임상 증상으로는 운동장애, 배뇨장애, 감각장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의세포종은 가장 흔한 척수 내 종양 입니다. 국소성 혹은 신경근성 통증이 발생하거나 배변, 배뇨 장애가 초기에 생기기 도합니다.
성상세포종은 희귀한 종양으로 흉수에서 제일 흔합니다.
[확인 가능한 검사]
·요추천자로 검사가 가능합니다. 척추 조영술의 전단계에 실시하며 지주막하강의 폐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진행하는 검사입니다.
제4~5 요추 간이나 제5요추~제1천추 간의 사이에서 뇌척수액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채취합니다.
3. 척수종양 치료법 분류
a. 수술 치료
원발성으로 생긴 척수종양은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우선적입니다.
양성의 경우에는 완전한 적출이 되어야 하며 완전한 제걱 된다면 신경회복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전이성 척추종양처럼 악성인 경우에 척추체를 파괴하게 되면 척추골절이 발생할 수도 있기에 척추고정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b. 방사선치료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은 종양은 방사선 치료를 합니다.
c. 약물치료
스테로이드 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척수 압박된 부위의 부종을 감소시켜서 신경학적인 증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치료의 부작용 관리
a. 수술 치료
출혈 및 부종이 가장 큰 부작용입니다. 출혈이 발생하게 되면 신경학적인 결손이 발생하게 되며 회복이 늦어지게 됩니다.
b. 방사선 치료
방사능을 암세포에만 조사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정상 신경조직의 방사선 괴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c. 약물치료
척수의 부종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는 경우에 장기간으로 치료하는 경우 갑자기 중단하게 된다면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행동변화, 혈당의 상승, 여드름 및 피부발진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