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백혈병 leukemia
백혈병이란 비정상적인 백혈구의 증식이 특징적인 악성 혈액암 질환입니다.
골수나 말초혈액, 다른 기관에 침윤하며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않는 세포가 점점 늘어나서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세포가 차지할 공간을 침식해 나가는 암입니다.
2.백혈병에 대한 기본지식
[증상]
임상적 소견으로는 빈혈, 중성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등의 소견이 있습니다.
신체에서 느끼는 증상으로는 권태감, 피로감, 뼈의 통증, 출혈, 타박상, 열, 야간 발한 및 감염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확인 가능한 검사]
골수 검사를 통해서 조직화학염색 검사, 면역표현형 검사, 세포유전자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골수 천자를 하면서 뼈 중심 조직까지 생검하여 세포질을 검사하기도 합니다.
뇌척수액 검사도 시행합니다.
[검사 결과에 따른 간호]
a. 절대호중구 수치가 500 이하인 경우 감염 위험의 증가 상태입니다.
간호 처치할 때 개인위생을 설명하고, 무균처치 및 깨끗한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수혈할 때는 절대호중구 수치가 낮으면 RBC 수혈 시 부작용 생길 수 있으며 이식편대숙주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식편대숙주병 (GVHD)이란 수혈된 림프구가 면역 기능이 저하된 숙주를 공격하여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발열, 발진, 설사 등의 부작용으로 치명적인 결과가 생길 수 있습니다.
filter RBC를 이용해야 합니다.
b. 혈소판 감소증은 PC 또는 pheresis를 수혈해야 합니다.
PC는 여러 사람의 혈소판을 채집한 것이고 pheresis는 한 사람의 혈소판을 채집한 혈액입니다.
면역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라면 pheresis를 투약 시행해야 합니다.
[분류]
a.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 Acute myeloid leukemia)
b.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 Actue lymphocytic leukemia)
c.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 Chronic myeloid leukemia)
d.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a.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 Acute myeloid leukemia)은 주로 성인, 나이 많은 환자에게 발생합니다. 비교적 초기 단계의 조혈과정에서 분화를 시작하는 골수계모세포의 장애가 생겨서 발병하는 기전입니다.
b.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 Actue lymphocytic leukemia)은 골수 내의 림프구계의 백혈구가 미성숙 상태에서 분열을 계속하는 악성혈액 질환의 결과로 미성숙한 림프구성 세포가 골수, 간, 비장, 신장, 림프절, 및 기타 장기의 조직을 침범하게 됩니다. 척추 및 뇌에 침윤하는 빈도와 뼈의 관절이 영향받는 빈도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보다 높습니다.
c.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 Chronic myeloid leukemia)은 주로 30~40대의 장년층에서 발생하는 성인성 백혈병입니다. 조혈모세포의 이상으로 모든 단계의 골수계 세포가 증식하며 예후가 매우 불량합니다. 50%의 환자에게 무증상이며 증상이 있다면 피로감, 체중감소 및 좌상복부통증이나 비장비대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성백혈병의 진단은 말초혈액 및 골수 천자를 통해 염색체 분석으로 골수세포의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분류합니다. 유전자 산물인 bcr-Abl 유전자를 확인하면 확정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3. 치료방법
치료기간에 따라 공고요법, 강화요법, 유지요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a. 관해유도요법
관해유도요법은 목표가 완전관해입니다. 초기에 가능한 치료이며 골수 검사에서 백혈병 세포가 5% 미만이면서 정색혈액 소견과 함께 임상증상이 없는 경우에 가능한 요법입니다.
백혈병 세포를 빠르게 제거하여 조혈 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완전관해율은 80~90% 정도입니다.
투약하는 약제로는 steroid, vincristine, Anthracyclines (Doxorubicin or daunorubicin) 이 있습니다.
b. 공고, 강화요법은 미세 잔류 백혈병을 제거하는 치료입니다
수개월간에 걸쳐서 반복적인 치료과정에 투여되었던 약물과 동등한 효력의 약물을 병용 사용 합니다
강화요법은 공고요법에서 주어진 용량보다 더 높은 용량을 사용하며 조혈모세포 이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c. imatinib (글리벡)을 이용한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구토, 부종이 있습니다.
d. Nilotinib (닐로티닙) 은 글리벡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글리벡 내성이 생겨서 만들어진 약제입니다. 글리벡의 20~30배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